향기로움과 맛의 조화, 향커피
한때 형 커피가 크게 유행한 적이 있다. 향 커피란, 볶은 커피나 분쇄커피의 표면에 천연 또는 인공향료를 코팅한 것으로, 추출 후 입안에 남는 향을 즐기는 커피다. 커피를 처음 마시는 10~20대나 일상생활에서 권태감에 젖어 새로운 것을 찾는 가정주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. 초창기에는 수입 향 커피가 워낙 비싸게 유통되면서 소비자에게 비싼 커피로 인식되었다. 그래서 대규모 제조회사에서부터 소규모 제조사에 이르기까지 너 나 할 것 없이 마진이 좋은 향 커피 제조에 뛰어들기도 했다. 당시 가장 인기가 있었던 향 커피는 헤이즐넛, 아이리시 크림, 프렌치 바닐라, 스위스 초코아몬드, 마카다미아가 있었다. 사실 향 커피는 1970년대에 미국에서 커피가 잘 팔리지 않아 재고가 쌓이자 향을 혼합하여 색다른 맛을 내어 판매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. 그런데 의외로 향 커피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면서 다양한 향료와 배합 기술 그리고 향 커피에 알맞은 볶기 정도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품질이 향상되었다. 본고장인 미국에서조차 향 커피는 정통 커피가 아니라는 부정적인 시각도 있었다. 그러나 결과적으로 커피의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. 하지만 일본에서는 정착하지 못했다. 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소량 수입하여 판매하던 중 1994년 7월에 기존의 식품위생법에 명시된 식품정상 원두커피는 커피 원두를 100%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에 의해 수입이 금지되었다. 그러다 1995년 8월에 원두커피에 착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고 식품위생법이 개정되면서 향 커피의 제조 및 판매가 양성화되었다. 하지만 착향료의 원료는 대부분 인공향료이기에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.
좋은 향 컾피 분별하기
첫째, 향 커피를 분쇄, 추출하여 마실 때 입 안에 향이 감돌아야 하며, 그 맛은 기분 좋게 느껴지는 조화된 맛이어야 한다. 이때 향을 더욱 깊이 있게 느끼고 싶다면 소량의 설탕을 첨가해 보자. 그러면 더욱 진한 향을 느낄 수 있다. 커피와 향료를 혼합할 때는 충분히 섞이도록 한다. 향료를 커피 표면에만 묻혀 놓은 상태라면, 분쇄 후에 향이 떨어지고 커피 잔 속에서는 거의 향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. 또 향과 커피를 혼합하여 밀폐된 용기 속에 보관할 때는 최소한 보름 이상 숙성시켜야 좋은 향 커피가 된다. 인공적인 냄새가 강하면 향에 대한 거부감이 생기게 되므로 주의하도록 한다. 두래, 향 커피는 뒷맛이 좋아야 한다. 좋은 향 커피는 좋은 원두를 사용하여 적당히 잘 볶아야 뒷맛이 개운하고 맛있다. 등급이 낮고 값이 싼 아라비카 커피나 로부스타 커피를 사용한 향 커피는 마신 후 입안이 텁텁하고 떫으며 개운하지 못한 신맛이 남기 때문에 물로 입가심을 해야 한다. 향 커피는 볶기 정도가 너무 강하면 향이 약해지기 때문에 커피를 볶는 정도를 미디엄 로스트와 하이 로스트의 중간 정도나 약한 볶기를 한다.
커피의 신선도
커피는 갓 볶았을 때가 향이 좋으며, 그 향기로움이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이다.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커피 향미의 손실이 급격히 진행되므로 가능하다면 커피를 직접 볶는 가게에서 소량씩 자주 사서 추출해 마시는 것이 좋다. 혹 집에서 로스팅이 가능하다면 자신의 입맛에 맞게 직접 볶는 것도 좋다. 로스팅된 커피는 일주일이나 길어야 열흘 정도 마실 양만 사고 마시기 직전에 갈아 추출해서 즐겨보자. 번거고 귀찮겠지만 향기롭고 맛있는 커피를 생각한다면 이 정도의 수고로움은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. 요즘에는 동네 곳곳에 커피를 직접 볶는 작은 커피 전문점이 많이 생겨나고 있어 원두커피를 제대로 즐기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다. 신선한 커피를 즐기려면 먼저 원두커피를 구 할 때 제조일자르 확인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. 하지만 제조일자 대신에 유통기한을 표시하고 있는 제품이 더 많이 때문에 제조일자를 정확히 알기란 어렵다. 최근에는 원두커피를 소분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기 때문에 이제는 원두커피의 제조일자조차도 포장일자로 봐야 한다. 결국 스스로 원두커피의 신선도를 알아내는 방법을 터득해야 하는데, 그 방법에는 다음 네 가지가 있다. 신선도는 사람의 감각, 즉 후각, 시각, 미각 그리고 통각으로 알 수 있다.
'커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스프레소란 무엇인가 (0) | 2023.03.19 |
---|---|
원두커피에 일반적인 사항 (0) | 2023.03.18 |
커피 원두의 브렌딩 (0) | 2023.03.17 |
커피 로스팅에 대한 사실 (0) | 2023.03.16 |
커피 로스팅 이론 (0) | 2023.03.16 |